임신 및 모유 수유 중에
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
하면 아기에게 유익할 수 있습니다.
6 분 안에 읽을 수 있습니다
사실
아기의 마이크로바이옴 발달에 있어 생애 초반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건강에 단기 및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1, 2, 3
임신 및 모유 수유 기간 중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아기의 면역 건강에 영향을 미칩니다.
박테리아가 아기의 면역 체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은 정확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지만,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두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여성의 마이크로바이옴은 모유와 태반을 통해 아기의 마이크로바이옴에 메시지를 보냅니다.3
- 자연분만 과정 중 박테리아는 산모의 마이크로바이옴에서 아기에게로 전달되어 아기의 마이크로바이옴이 성장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칩니다. 이를 접종(seeding)라고 합니다.11
이 두 가지 자연스러운 과정이 아기의 미생물 발달과 면역 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사실
임신 및 모유 수유 중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아기의 면역 건강에 유익할 수 있습니다.4, 5, 6, 7, 8, 9
모유와 태반은 아기의 마이크로바이옴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.
여성의 마이크로바이옴이 임신 중 균형을 유지한다면 아기의 마이크로바이옴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합니다. 여성의 마이크로바이옴은 외부 요인 및 임신 자체로 인해 임신 중 자연스럽게 변합니다. 엄마의 마이크로바이옴은 아기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12, 13 예를 들어 임신한 여성이 임신 중 스트레스를 받으면 마이크로바이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아기의 마이크로바이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14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산모의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, 여러 연구를 통해 여성이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했을 때 아기가 면역 관련 건강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적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임신 및 모유 수유 중인 여성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, LGG® 프로바이오틱 균주(이하 상표명, LGG®로 지칭)를 공급받은 경우(혹은 LGG®를 보충한 유아식을 아기에게 먹인 경우) 위약을 받은 아기에 비해 면역 체계와 관련된 피부 문제가 50% 더 적게 발생하였습니다.4 아기가 4, 4, 5, 7세일 때 4, 6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가 지속되었고, 이는 LGG® 균주가 장기적으로 유익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.
임신 및 모유 수유 중 세 가지 프로바이오틱스(LGG®,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아종 락티스, BB-12®,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, LA-5® 균주)를 섭취하는 것은 아기가 면역 관련 피부 문제를 더 적게 일으키는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.7
사실
WHO(세계보건기구)는 첫 6개월 동안 단독으로 모유 수유를 한 다음 이유식과 함께 모유 수유를 지속할 것을 권장합니다.15
자연분만은 아기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내의 유익한 박테리아를 조성합니다.
자연분만 중 산모의 마이크로바이옴은 아기의 마이크로바이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임신 초기 및 후기 사이 산모의 마이크로바이옴에 변화가 일어나는데,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에 존재하는 유익한 비피더스균의 양이 증가합니다.16, 17
비피더스균은 아기의 면역 건강 발달에 중심이 되기 때문에 생애 초반에 중요합니다.18 한 연구에서 연구원들은 산모 17명과 그들의 아기를 조사했습니다. 자연분만으로 태어난 아기의 경우 산모와 아기 모두에서 매우 특정한 비피더스균의 균주가 존재한다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.19 하지만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와 산모에게서는 이 특정한 균주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.19 이는 이 특정한 박테리아가 자연분만 중에 산모에게서 아기로 전달되었음을 시사합니다.19
다른 연구에 따르면 출산 몇 주 전부터 LGG®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섭취한 산모가 낳은 아기의 장에서 유익한 비피더스균이 더 많이 발견되었습니다.9.
사실
장내 다양한 박테리아의 군집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라고 합니다.10
임신 및 모유 수유 중에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아기의
면역 체계 발달에 유익할 수 있습니다.
여러 과학적 연구의 결과, 임신 및 모유 수유가 여성의 장내 박테리아와 아기의 마이크로바이옴이 상호 작용하는 중요한 지점을 제공한다는 것이 확인 되었습니다. 이 연구들에서, 임신 및 모유 수유 중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아기의 면역 체계 발달에 도움을 주어 가렵고 건조한 피부의 발생을 줄이는 등 면역과 관련된 상태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. 엄마와 아기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의료 전문가에게 문의하십시오.
LGG®, BB-12®, LA-5®는 Chr. Hansen A/S의 등록 상표입니다.
본 게시글은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정보 제공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, 게시글에 언급된 모든 물질도 그 어떠한 질병의 진단, 치유, 완화, 치료 또는 예방을 의도하였음을 시사하지 않습니다.
Bifidobacterium , BB-12®
프로바이오틱 균주인 Bifidobacterium, BB-12®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입증된 프로바이오틱스 비피도박테리움입니다. 이 균주는 폭넓게 연구되어 왔으며
여러 건강 영역에 대한 효능과 관련이 있습니다.
BB-12®는 Chr. Hansen의 등록상표입니다.
참고문헌 목록 열기 닫기
- Walker WA. Pediatr Res. 2017;82(3):387-95. (PubMed)
- Rautava S, et al.Nat Rev Gastroenterol Hepatol. 2012;9(10):565-76. (PubMed)
- Macpherson AJ, Nature Reviews Immunology. 2017;17(8):508-17. (PubMed)
- Kalliomaki M, et al. Lancet. 2001;357(9262):1076-9. (PubMed)
- Kalliomaki M, et al. Lancet. 2003;361(9372):1869-71. (PubMed)
- Kalliomaki M, et al.J Allergy Clin Immunol. 2007;119(4):1019-21. (PubMed)
- Dotterud CK, et al. Br J Dermatol. 2010;163(3):616-23. (PubMed)
- Huurre A, et al. Clin Exp Allergy. 2008;38(8):1342-8. (PubMed)
- Gueimonde M, et al. J Pediatr Gastroenterol Nutr. 2006;42(2):166-70. (PubMed)
- Brody H. Nature. 2020;577(7792):S5. (PubMed)
- Mueller NT, et al. Trends Mol Med. 2015;21(2):109-17. (PubMed)
- Nyangahu DD, et al. Microbiome. 2018;6(1):124. (PubMed)
- Roduit C, et al. J Allergy Clin Immunol. 2011;127(1):179-85, 85.e1. (PubMed)
- Zijlmans MA, et al. Psychoneuroendocrinology. 2015;53:233-45. (PubMed)
- World Health Organisation. Accessed 12th November 2021. (Source)
- Koren O, et al. Cell. 2012;150(3):470-80. (PubMed)
- Nuriel-Ohayon M, et al. Cell Rep. 2019;27(3):730-6.e3. (PubMed)
- Ruiz L, et al. Front Microbiol. 2017;8:2345-. (PubMed)
- Makino H, et al. PLoS One. 2013;8(11):e78331. (PubMed)
참고문헌 목록
- Walker WA. Pediatr Res. 2017;82(3):387-95. (PubMed)
- Rautava S, et al.Nat Rev Gastroenterol Hepatol. 2012;9(10):565-76. (PubMed)
- Macpherson AJ, Nature Reviews Immunology. 2017;17(8):508-17. (PubMed)
- Kalliomaki M, et al. Lancet. 2001;357(9262):1076-9. (PubMed)
- Kalliomaki M, et al. Lancet. 2003;361(9372):1869-71. (PubMed)
- Kalliomaki M, et al.J Allergy Clin Immunol. 2007;119(4):1019-21. (PubMed)
- Dotterud CK, et al. Br J Dermatol. 2010;163(3):616-23. (PubMed)
- Huurre A, et al. Clin Exp Allergy. 2008;38(8):1342-8. (PubMed)
- Gueimonde M, et al. J Pediatr Gastroenterol Nutr. 2006;42(2):166-70. (PubMed)
- Brody H. Nature. 2020;577(7792):S5. (PubMed)
- Mueller NT, et al. Trends Mol Med. 2015;21(2):109-17. (PubMed)
- Nyangahu DD, et al. Microbiome. 2018;6(1):124. (PubMed)
- Roduit C, et al. J Allergy Clin Immunol. 2011;127(1):179-85, 85.e1. (PubMed)
- Zijlmans MA, et al. Psychoneuroendocrinology. 2015;53:233-45. (PubMed)
- World Health Organisation. Accessed 12th November 2021. (Source)
- Koren O, et al. Cell. 2012;150(3):470-80. (PubMed)
- Nuriel-Ohayon M, et al. Cell Rep. 2019;27(3):730-6.e3. (PubMed)
- Ruiz L, et al. Front Microbiol. 2017;8:2345-. (PubMed)
- Makino H, et al. PLoS One. 2013;8(11):e78331. (PubMed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