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 분 안에 읽을 수 있습니다
프로바이오틱스는 아기와 어린 유아의 호흡기
건강을 보조할 수
있습니다.
사실
아기와 어린이의 면역 체계는 완전히 발달한 상태가 아니므로1 호흡기 불편에 더욱 취약합니다.2
호흡기 불편을 경험하는 것은 매우 흔합니다.
면역 체계에 문제가 생긴 경우 사람들은 호흡기의 불편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, 이는 일상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때 나타나는 매우 흔한 건강 문제입니다.3 호흡기 불편은 유해 박테리아와 같은 다양한 이물질에 의해 유발되며, 특히 어린이에게 흔히 발생합니다.4 호흡기 불편은 집에 있는 어린이보다 보육 시설에 다니는 어린이에게 2~3배 더 자주 발생합니다.5호흡기 불편은 대체로 저절로 없어지지만 여전히 아이들이 의료 전문가를 방문하게 되는 가장 흔한 이유입니다.6
프로바이오틱스는 호흡기 불편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높은 수준의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LGG® 또는 BB-12® 균주를 섭취한 아기 및 어린이에게서 LGG® 또는 BB-12®를 섭취하지 않은 어린이보다 호흡기 불편이 덜 발생했습니다.7-11LGG® 균주는 어린이의 호흡기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LGG® 균주 섭취와 관련된 한 연구에서, 3개월 동안 LGG® 균주를 매일 섭취한 어린이는 호흡기 불편을 상당히 적게 경험했습니다. LGG® 균주를 섭취했지만 호흡기 불편을 경험한 어린이는 위약을 받은 어린이보다 더 짧은 시간 동안 경험했습니다.7 또한 LGG® 균주를 섭취한 어린이는 위약 그룹의 어린이와 비교하여 보육 시설에 결석한 날이 상당히 적었습니다.7또 다른 연구에 의하면 LGG® 균주의 섭취는 다른 이유로 병원에 입원한 어린이의 호흡기 건강에 도움을 줄 수도 있습니다.8 이 연구에 따르면 LGG® 균주가 포함된 발효유를 섭취한 어린이에게는 위약을 받은 어린이보다 2일 이상 지속되는 소화기 문제가 덜 했고, 3일 이상 지속되는 호흡기 불편이 덜 했습니다.8
클릭하여 Chr. Hansen LGG® 균주에 관해 더 자세히 읽어보십시오.
감기 및 유사 독감 경험한 어린이가 더 적음
연구에 따르면 보육 시설에 결석한 일수가 위약군 대비 평균
2
일 더 적음
BB-12® 균주는 아기의 호흡기기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연구에 따르면 BB-12® 프로바이오틱스 균주가 아기의 호흡기 건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. 생후 1개월부터 2세까지 BB-12®를 섭취한 아기는 호흡기 불편을 더 적게 경험했습니다. 9, 10클릭하여 Chr. Hansen BB-12® 균주에 관해 더 자세히 읽어보십시오.
프로바이오틱스는 어린이의 호흡기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본 게시글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LGG® 및 BB-12® 균주는 아기 및 어린이의 호흡기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연구에 따르면 LGG®를 섭취하면 보육 시설에 결석하는 일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자세한 내용은 의료 전문가에게 문의하십시오.
프로바이오틱을 선택할 때 살펴봐야 할 사항에 대해 읽어보십시오.
프로바이오틱스와 묽은 변 및 아기가 과도하게 울고 보채는 경우 에 대해 읽어보십시오.
LGG® 및 BB-12®는 Chr. Hansen A/S의 등록 상표입니다.
본 게시글은 프로바이오틱스에 관한 정보 제공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, 게시글에 언급된 어떤 물질도 그 어떠한 질병의 진단, 치유, 완화, 치료 또는 예방을 의도하였음을 시사하지 않습니다.
Lactobacillus rhamnosus, LGG®
Lactobacillus rhamnosus, LGG®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프로바이오틱스
균주입니다. LGG® 균주는 소화기, 면역 및 구강 건강을 포함하여 모든 연령과 여러 건강 영역에 걸쳐 이점이 입증되어 왔습니다.
LGG®는 Chr. Hansen의 등록상표입니다.
참고문헌 목록 열기 닫기
- Ygberg S, Nilsson A. Acta Paediatr. 2012;101(2):120-7. (PubMed)
- Tregoning JS, Schwarze J. Clin Microbiol Rev. 2010;23(1):74-98. (PubMed)
-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. 2008. (Source)
- Cotton M, et al. S Afr Fam Pract (2004). 2008;50(2):6-12. (PubMed)
- Lu N, et al. Child Care Health Dev. 2004;30(4):361-8. (PubMed)
- Lenoir-Wijnkoop et al. PLoS One. 2015 Apr 10;10(4):e0122765 (PubMed)
- Hojsak I, et al. Clin Nutr. 2010;29(3):312-6. (PubMed)
- Hojsak I, et al. Pediatrics. 2010;125(5):e1171-7. (PubMed)
- Taipale T, et al. Br J Nutr. 2011;105(3):409-16. (PubMed)
- Taipale TJ, Pediatr Res. 2016;79(1-1):65-9. (PubMed)
- Hatakka K, et al. BMJ. 2001;322(7298):1327. (PubMed)